특수목적고등학교
특수목적고등학교 (特殊目的高等學校)는 특정 분야의 전문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된 고등학교를 지칭한다. 대한민국 초중등교육법에 근거하여 설립되며, 일반 고등학교와는 달리 특정 분야에 대한 심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약칭은 '특목고'로 사용된다.
개요
특수목적고등학교는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특정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설립 목적에 따라 과학고등학교, 외국어고등학교, 국제고등학교, 예술고등학교, 체육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 등으로 구분된다. 각 학교는 설립 목적에 부합하는 특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대학 진학뿐만 아니라 해당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종류
-
과학고등학교: 과학 분야의 영재를 조기 발굴하여 과학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수학, 과학 교과의 심화 학습과 연구 활동을 강조한다.
-
외국어고등학교: 외국어에 능통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특정 외국어의 심화 학습과 국제 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국제고등학교: 국제적인 감각과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국제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며, 영어 등 외국어 교육을 강화한다.
-
예술고등학교: 예술 분야의 재능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학교이다. 음악, 미술, 무용, 연극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전문 교육을 제공한다.
-
체육고등학교: 체육 분야의 우수 선수를 육성하기 위한 학교이다. 특정 종목의 전문 훈련과 함께 일반 교과 교육도 병행한다.
-
마이스터고등학교: 특정 분야의 기술·기능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산업 현장과 연계된 실무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졸업 후 취업을 지원한다.
입학
특수목적고등학교의 입학 전형은 학교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서류 전형, 면접, 필기시험 등의 과정을 거친다. 자기소개서, 학교생활기록부, 추천서 등이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하며, 학교에 따라서는 특정 분야에 대한 실기 평가를 실시하기도 한다.
논란 및 비판
특수목적고등학교는 설립 취지와는 달리 대학 입시를 위한 수단으로 변질되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또한, 일반 고등학교와의 교육 격차 심화, 사교육 유발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