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581건

추석

추석은 음력 8월 15일, 가을의 한가운데에 드는 명절이다. 가을걷이가 끝난 후 풍년을 감사하고 조상에게 추수의 결실을 공유하는 날로, 한국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이다. 다른 명칭으로는 한가위, 중추절(中秋節) 등이 있다.

어원 및 유래:

"추석"이라는 명칭은 '추수(秋收) 후에 석(夕)에 행하는 제사'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된다. "한가위"는 '한가운데의 가을'이라는 뜻으로, 가을의 중심에 위치한 명절임을 나타낸다. "중추절"은 중국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음력 8월을 중추(中秋)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풍습 및 행사:

추석에는 다양한 풍습과 행사가 행해진다.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차례(차례상 차리고 조상에게 제사 지내기), 성묘(산소에 가서 조상의 묘소를 돌보고 제사 지내기), 송편 만들기, 강강술래 등이 있다. 가족 친척들이 한자리에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 또한 중요한 부분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특색 있는 민속놀이와 풍습이 전해지기도 한다.

음식:

추석에는 송편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음식을 준비한다. 송편은 찹쌀가루로 만들어 솔잎 향을 넣고 다양한 소를 넣어 찌는 떡으로, 추석을 상징하는 음식이다. 그 외에도 토란국, 갈비찜, 전, 나물 등 풍성한 음식이 차례상에 오르고 가족들이 함께 나눠 먹는다.

현대 사회의 추석:

현대 사회에서는 교통 체증과 귀성길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지만, 여전히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 덕담을 나누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중요한 명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외 거주 가족들과의 화상 통화 등 새로운 방식으로 명절을 보내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관련 용어:

  • 차례: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
  • 성묘: 조상의 묘소를 찾아 참배하는 일
  • 송편: 찹쌀가루로 만든 떡
  • 강강술래: 추석에 하는 대표적인 민속놀이

참고: 추석에 대한 내용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