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667건

청화식 교수법

청화식 교수법 (聽話式 敎授法)은 외국어 교육 방법론의 하나로, 듣기(聽)와 말하기(話) 능력을 강조하는 교수법이다. 문법 번역식 교수법이나 직접식 교수법에 대한 반성으로 등장했으며, 20세기 중반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오디오링구얼 메소드(Audio-Lingual Method, ALM)라고도 불린다.

청화식 교수법의 핵심 원리는 다음과 같다.

  • 습관 형성: 언어 학습은 새로운 언어 습관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본다. 따라서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언어 구조를 무의식적으로 체득하도록 유도한다.
  • 모방과 암기: 원어민의 발음을 듣고 따라 하거나, 기본적인 문형을 암기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 구두 연습: 문법 설명이나 쓰기 연습보다는 듣고 말하는 구두 연습에 집중한다.
  • 오류 수정: 오류를 즉각적으로 수정하여 잘못된 습관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 문맥 강조: 언어는 문맥 속에서 의미를 가지므로, 고립된 단어보다는 문장이나 대화의 형태로 제시한다.

청화식 교수법은 주로 다음과 같은 활동을 포함한다.

  • 반복 연습 (Repetition drills): 교사의 발음을 따라 하는 연습
  • 대체 연습 (Substitution drills): 문장 구조는 유지하되, 특정 단어나 구를 바꿔 말하는 연습
  • 변형 연습 (Transformation drills): 문장의 형태를 바꾸는 연습 (예: 긍정문을 부정문으로, 능동태를 수동태로)
  • 응답 연습 (Response drills): 교사의 질문에 답하는 연습
  • 연쇄 연습 (Chain drills): 학생들끼리 돌아가며 질문하고 답하는 연습

청화식 교수법은 단기간에 기본적인 회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지나치게 기계적인 반복 연습에 치중하여 학습자의 창의성이나 의사소통 능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또한, 문법적인 이해 없이 암기 위주로 학습하게 되면 복잡한 문장 구성을 이해하거나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현대 외국어 교육에서는 청화식 교수법의 장점을 수용하면서도,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창의적인 표현을 강조하는 교수법들이 개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