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천하위공

천하위공은 "천하가 한 사람의 사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것이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는 사적인 이익보다 공공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이상적인 사회는 통치자가 사심 없이 백성을 위하며 다스리는 사회라는 정치 철학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기원:

이 용어는 《예기(禮記)》의 〈예운(禮運)〉 편에 등장합니다. 고대 중국의 이상적인 사회상을 묘사하며, 과거 성왕(聖王)들이 천하를 다스릴 때는 자신의 자손에게 왕위를 물려주지 않고 능력 있는 현자에게 양위하여 천하를 공적으로 다스렸다는 내용에서 유래했습니다. 이러한 이상적인 통치 방식은 '대동사회(大同社會)'의 핵심 가치로 여겨졌습니다.

의미와 함의:

  • 공익 우선: 개인이나 특정 집단의 이익보다 사회 전체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정신을 강조합니다.
  • 이상적인 정치: 통치자는 사심 없이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쳐야 한다는 이상적인 정치관을 제시합니다.
  • 능력주의: 혈연이나 지연이 아닌 능력에 따라 인재를 등용하고 공정한 사회를 구현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 공동체 의식: 천하를 공동의 것으로 여기고 함께 번영을 추구하는 공동체 의식을 고취합니다.

현대적 의미:

오늘날 '천하위공'은 공공 정신, 사회 정의, 공동체 의식 등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공익을 우선시하고 투명하고 공정한 사회를 건설하는 데 기여하는 가치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나 지속가능한 발전과 같은 개념과도 연관되어 논의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