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지렁이
갯지렁이는 환형동물문 다모강에 속하는 해양 생물이다. 몸은 길고 마디로 나뉘어 있으며, 각 마디에는 한 쌍의 측각이 있다. 측각에는 깃털 모양의 강모가 돋아 있어 헤엄치거나 기어 다니는 데 사용된다. 갯지렁이는 전 세계 해안의 갯벌, 모래, 바위 틈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특징
- 몸 구조: 몸은 머리, 몸통, 꼬리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머리에는 촉수, 더듬이, 눈 등이 있을 수 있다. 몸통은 많은 마디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마디에는 측각이 있다.
- 크기: 종류에 따라 크기가 매우 다양하며, 몇 mm에서 수 미터에 이르는 것도 있다.
- 색깔: 다양한 색깔을 띠며, 서식 환경에 따라 보호색을 가진다.
- 먹이: 종류에 따라 다양하며, 유기물 찌꺼기, 해조류, 작은 동물 등을 먹는다.
- 생식: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을 모두 할 수 있다. 유성 생식은 암수가 만나 알을 낳아 번식하는 방식이며, 무성 생식은 몸의 일부가 잘려나가 새로운 개체가 되는 방식이다.
분류
갯지렁이는 매우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분류 체계는 계속 변화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로 나뉜다.
- 갯지렁이과 (Nereididae)
- 모래갯지렁이과 (Arenicolidae)
- 털보갯지렁이과 (Terebellidae)
생태적 중요성
갯지렁이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먹이 사슬: 다른 해양 동물의 먹이가 된다.
- 퇴적물 순환: 갯벌의 퇴적물을 섞어 유기물을 분해하고 영양분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 환경 지표: 특정 갯지렁이 종은 오염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환경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인간과의 관계
- 식용: 일부 지역에서는 갯지렁이를 식용으로 사용한다.
- 낚시 미끼: 낚시 미끼로 사용된다.
- 양식: 일부 갯지렁이 종은 양식되어 낚시 미끼나 사료 등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