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개요
채권은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일정 기간 후에 원금과 이자를 지급할 것을 약정한 증서이다. 채권은 투자자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투자 수단으로 여겨지며, 정부, 기업, 지방자치단체 등 다양한 발행 주체가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한다. 채권의 가격은 시장 상황, 금리 변동, 발행 주체의 신용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한다.
종류
채권은 발행 주체, 만기, 이자 지급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대표적인 종류로는 다음과 같다.
- 국채: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로 간주된다.
- 회사채: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으로, 국채에 비해 위험이 다소 높지만, 수익률도 높을 수 있다.
- 지방채: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채권이다.
- 사채: 특정 기업이나 개인에게 발행되는 채권이다.
- 국공채: 국가 또는 공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의 총칭이다.
- 고정금리채권: 만기까지 고정된 이자율을 지급하는 채권이다.
- 변동금리채권: 시장 금리 변동에 따라 이자율이 변하는 채권이다.
- 제로쿠폰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않고 만기에 원금과 함께 할인된 가격 차이만큼의 수익을 제공하는 채권이다.
투자
채권 투자는 주식 투자와 달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여겨지지만, 금리 변동 위험, 신용 위험 등의 투자 위험이 존재한다.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수준을 고려하여 채권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채권의 가격은 시장 금리와 반비례 관계를 가지므로, 금리 상승 시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 하락 시 채권 가격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위험
채권 투자에는 다음과 같은 위험이 존재한다.
- 금리 위험: 시장 금리 상승 시 채권 가격 하락 위험
- 신용 위험: 채권 발행자가 원금 및 이자를 지급하지 못할 위험
- 환율 위험: 외화 표시 채권 투자 시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 위험
- 재투자 위험: 만기 전에 채권을 매도해야 할 경우, 원하는 수익률을 얻지 못할 위험
관련 용어
- 만기: 채권의 상환 시점
- 표면이자율(쿠폰이자율): 채권의 이자율
- 듀레이션: 채권 가격의 금리 변동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
- 수익률 곡선: 만기별 채권 수익률을 나타내는 곡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