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간접
직·간접 (直接·間接)은 어떤 대상이나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따른 분류이다. 직접적인 방식은 매개 없이 곧바로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하며, 간접적인 방식은 중간 단계를 거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개념
-
직접 (直接): 어떤 대상이나 현상에 중간 매개 없이 곧바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직접적인 원인", "직접적인 대화"와 같이 사용된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다른 요인이 개입하지 않고, 행위의 주체가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 '직접적'이라고 표현한다.
-
간접 (間接): 어떤 대상이나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중간 단계나 매개물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간접적인 영향", "간접적인 증거"와 같이 사용된다. 원인과 결과 사이에 다른 요인이 개입하거나, 행위의 주체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른 것을 통해 영향을 줄 때 '간접적'이라고 표현한다.
활용
직접과 간접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개념이다.
- 법률: 법률에서 직접 책임과 간접 책임은 책임의 소재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 경제: 경제학에서는 직접세와 간접세,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 등을 구분하여 경제 현상을 분석한다.
- 사회: 사회학에서는 직접적인 차별과 간접적인 차별을 구분하여 사회 불평등 문제를 연구한다.
- 정치: 정치학에서는 직접 민주주의와 간접 민주주의를 구분하여 정치 체제를 이해한다.
- 일상생활: 일상생활에서도 우리는 직·간접적인 경험, 직·간접적인 영향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이 개념을 사용한다.
예시
구분 | 예시 | 설명 |
---|---|---|
직접적인 영향 | 햇빛을 쬐면 피부가 탄다. | 햇빛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아 피부색을 변화시킨다. |
간접적인 영향 | 친구의 성공 소식을 듣고 자극을 받아 공부를 열심히 한다. | 친구의 성공이라는 외부 요인이 '자극'이라는 중간 단계를 거쳐 '공부'라는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
직접적인 증거 | 범행 현장에서 발견된 지문 | 범인이 직접적으로 범행 현장에 있었음을 증명하는 증거이다. |
간접적인 증거 | 범인이 범행 도구와 동일한 물건을 소지하고 있었다는 증거 | 범행 도구를 소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범행을 저질렀을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직접적으로 범행을 입증하는 증거는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