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188건

중론

중론은 한자 표기에 따라 두 가지 주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단어이다.

  1. 중론 (衆論)

    • 의미: 여러 사람의 의견이나 주장. 어떤 사안에 대해 많은 사람이 공통적으로 동의하거나 받아들이는 견해를 의미한다.
    • 설명: 사회나 집단 내에서 형성되는 일반적인 여론이나 다수의 합의된 견해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중론이 형성되었다고 말할 때 이 의미로 쓰인다. 이는 개별적인 소수의 의견이 아닌, 집단적인 사고의 흐름이나 지향점을 보여준다.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람들이 공유하는 생각이나 주장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2. 중론 (中論)

    • 의미: 대승불교의 핵심 경론 중 하나.
    • 설명: 서기 2세기경의 인도 사상가인 나가르주나(龍樹, Nāgārjuna)가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식 명칭은 『근본중송』(根本中頌, Mūlamadhyamakakārikā)이다. 이는 중관파(中觀派, Madhyamaka)의 근본 경전으로서, 모든 존재는 고유한 실체가 없이 공(空, śūnyatā)하다는 사상, 즉 연기(緣起)에 바탕한 공 사상을 체계적으로 논증한다. 불교 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이후 동아시아 불교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중론'은 한자 표기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므로, 문맥에 따라 그 의미를 구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