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조청

조청은 엿기름으로 삭힌 즙을 오랫동안 고아 만든 꿀과 비슷한 농도의 한국 전통 감미료이다. 쌀, 찹쌀, 수수, 옥수수 등의 곡물을 주재료로 사용하며, 제조 과정에서 곡물의 전분이 맥아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단맛을 내는 원리이다.

특징

  • 색과 농도: 조청은 맑고 투명한 갈색을 띠며, 시럽과 유사한 끈적한 농도를 가진다.
  • 단맛: 설탕이나 물엿보다 은은하고 깊은 단맛이 특징이며, 곡물 특유의 풍미가 느껴진다.
  • 영양 성분: 주재료인 곡물의 영양 성분을 일부 함유하고 있으며, 소화를 돕는 효소가 남아있기도 하다.
  • 보관성: 당도가 높아 상온에서 비교적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용도

  • 음식 조리: 각종 볶음, 조림, 찜 요리에 단맛을 더하고 윤기를 내는 데 사용된다.
  • 한과 및 전통 과자: 약과, 강정, 다식 등 한국 전통 과자를 만들 때 중요한 재료로 사용된다.
  • 차 및 음료: 따뜻한 물에 타서 차로 마시거나, 다양한 음료에 첨가하여 단맛을 낼 수 있다.
  • 약재: 일부 한약재를 조제할 때 단맛을 내거나 약효를 돕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제조 방법

  1. 곡물을 깨끗하게 씻어 불린 후 엿기름과 함께 섞어 삭힌다.
  2. 삭힌 물을 걸러내어 솥에 넣고 약한 불에서 오랫동안 끓인다.
  3. 수분이 증발하면서 농도가 점점 짙어지는데, 원하는 농도가 될 때까지 계속 끓인다.
  4. 완성된 조청은 식힌 후 용기에 담아 보관한다.

종류

주재료에 따라 쌀조청, 찹쌀조청, 수수조청, 옥수수조청 등으로 나뉘며, 첨가하는 재료에 따라 맛과 향이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생강을 넣어 만든 생강조청은 감기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 용어

  • 엿기름: 엿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싹이 튼 보리.
  • 고두밥: 물을 적게 넣고 되게 지은 밥. 조청을 만들 때 사용한다.
  • 물엿: 전분을 산이나 효소로 분해하여 만든 감미료. 조청과는 제조 방식과 맛에서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