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그
포그(Fog)는 대기 중에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떠다니면서 시정(visibility)을 감소시키는 현상을 의미한다. 안개와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안개보다 시정거리가 짧다는 차이가 있다. 기상학적으로는 시정거리가 1km 미만인 경우를 포그라고 정의하며, 1km 이상인 경우에는 박무(mist)라고 한다.
형성 과정:
포그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핵을 중심으로 응결되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지표면 냉각으로 인해 공기가 냉각되거나,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표면 위로 이동하면서 발생한다. 또한, 비나 이슬과 같은 강수 현상 이후 습한 공기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때도 포그가 형성될 수 있다.
포그의 종류:
- 복사무(Radiation fog): 맑고 바람이 없는 밤에 지표면 냉각으로 인해 형성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포그이다.
- 이류무(Advection fog):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표면 위로 이동하면서 형성되는 포그이다. 해안 지역에서 자주 발생한다.
- 증기무(Steam fog):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물 표면 위로 이동하면서 수증기가 증발하고 응결되어 형성되는 포그이다.
- 전선무(Precipitation fog): 따뜻한 비가 차가운 지표면 위로 내릴 때 발생하는 포그이다.
포그의 영향:
포그는 교통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시야를 가려 차량, 선박, 항공기 운항에 지장을 초래하며, 사고 위험을 증가시킨다. 또한, 농작물의 생육을 저해하고,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포그 예방 및 대처:
포그는 기상 현상이므로 인위적인 예방은 어렵다. 그러나 포그 발생 가능성이 높은 날씨에는 교통 안전에 유의하고, 불필요한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차량 운전 시에는 감속 운행하고, 전조등을 켜 시야 확보에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