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스펜션
서스펜션 (Suspension)은 일반적으로 기계 장치에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자동차 공학에서는 차체와 바퀴 사이에 위치하여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을 돕는 핵심 부품이다. 넓은 의미로는 액체 속에 고체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키기도 한다.
자동차 서스펜션
자동차 서스펜션은 크게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 승차감 향상: 노면의 불규칙성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 조종 안정성 확보: 타이어가 노면에 최대한 밀착하도록 유지하여 차량의 조종 안정성을 확보하고, 제동 성능을 향상시킨다.
- 차체 보호: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체를 보호한다.
자동차 서스펜션은 다양한 구조와 작동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대표적인 서스펜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독립 현가 장치 (Independent Suspension): 좌우 바퀴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이 뛰어나다. 맥퍼슨 스트럿 (MacPherson Strut), 더블 위시본 (Double Wishbone) 등이 대표적인 형태이다.
- 차축 현가 장치 (Dependent Suspension): 좌우 바퀴가 하나의 차축으로 연결되어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리프 스프링 (Leaf Spring), 토션 빔 (Torsion Beam) 등이 대표적인 형태이다.
서스펜션 시스템은 스프링, 쇽 업소버 (Shock Absorber), 링크 등으로 구성되며, 각 부품의 특성과 조합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과 조종 성능이 달라진다. 최근에는 전자 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노면 상태나 운전 조건에 따라 감쇠력을 조절하는 액티브 서스펜션 (Active Suspension) 시스템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화학에서의 서스펜션
화학 분야에서 서스펜션은 액체 속에 비교적 큰 고체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콜로이드 (Colloid)와는 달리, 서스펜션은 시간이 지나면 입자가 가라앉는 경향이 있다. 페인트, 혈액, 진흙탕물 등이 서스펜션의 예시이다.
기타
넓은 의미에서 서스펜션은 무언가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거나 보류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직무 정지나 출장 정지를 '서스펜션'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