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488건

조사 (품사)

조사 (助詞, particle)는 한국어 문법에서 단어 뒤에 붙어 그 단어와 다른 단어와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의미를 더해주는 품사이다. 주로 명사, 대명사, 수사 등 체언(體言) 뒤에 붙지만, 부사나 어미 뒤에 붙기도 한다. 조사는 홀로 쓰일 수 없고 반드시 앞말에 의존하여 나타나므로 의존 형태소이자 문법 형태소에 해당한다.

정의

조사는 한국어의 아홉 가지 주요 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중 하나이다. 앞선 단어에 붙어 그 단어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부사어 등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표시하거나, 그 단어에 대한 화자의 태도나 의미를 덧붙이는 기능을 한다. 조사 자체는 문장 성분이 되지 못하고, 조사가 붙은 앞말과 함께 구를 이루어 해당 문장 성분으로 기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징

  • 붙임성: 반드시 앞 단어 뒤에 붙어 나타난다.
  • 형태 불변: 어미처럼 활용하지 않고 형태가 거의 변하지 않는다. (예: '이다' 조사는 활용하지만, 대부분의 조사는 불변한다.)
  • 기능: 문법적 관계 표시 (격조사), 의미 추가 (보조사), 단어 연결 (접속조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의존성: 홀로 쓰일 수 없으며, 앞 단어가 있어야만 존재 의미를 갖는다.

종류

조사는 기능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 격조사 (格助詞): 앞말이 문장에서 어떤 문법적 자격(격)을 갖는지 표시한다.
    • 주격조사: 이/가, 께서, 에서(단체 주어)
    • 목적격조사: 을/를
    • 보격조사: 이/가 (되다, 아니다 앞에서 보어 자격을 나타냄)
    • 관형격조사: 의
    • 부사격조사: 에, 에서, 에게, 한테, 께, 로/으로, 와/과 (비교/공동), 처럼, 만큼(앞말이 체언일 때), 등 매우 다양함
    • 호격조사: 아/야, 여/이여 (부를 때 사용)
  • 보조사 (補助詞): 앞말에 특별한 의미를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격조사가 나타내는 문법적 의미 외에 화자의 의도, 강조, 제한 등의 의미를 더한다.
    • 은/는 (대조, 주제)
    • 도 (첨가)
    • 만 (제한)
    • 까지 (포함, 한계)
    • 부터 (시작, 근원)
    • 요 (존대)
    • (이)나 (선택, 양보, 강조)
    • (이)야말로 (강조) 등 매우 다양함
  • 접속조사 (接續助詞): 둘 이상의 단어나 구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준다.
    • 와/과, (이)랑, (하)고 (앞말과 뒷말을 대등하게 연결)

예시

  • 읽는다. (는: 보조사, 을: 목적격조사)
  • 하늘 맑다. (이: 주격조사)
  • 친구 공원 갔다. (와: 접속조사/부사격조사, 에: 부사격조사)
  • 사과 먹었다. (만: 보조사)
  • 이것 연필다. (이: 주격조사, 이다: 서술격 조사 - 격조사에 포함시키기도 함)

다른 품사와의 관계

조사는 주로 체언 뒤에 붙지만, 용언(동사, 형용사)의 어미 뒤에 붙거나 부사 뒤에 붙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고서야', '-니만큼' 등은 어미 뒤에 조사가 붙은 형태이며, '빨리도'처럼 부사 뒤에 보조사가 붙기도 한다.

조사는 한국어 문법 구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문장 성분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 의미를 풍부하게 만드는 중요한 품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