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장
정수장은 상수원수(강물, 호수, 지하수 등)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는 시설을 말한다. 상수원수는 여러 가지 오염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정수장에서는 이러한 물질들을 제거하고 소독하여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한다.
정수 과정
일반적인 정수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 취수: 강, 호수, 지하수 등 상수원수를 취수한다.
- 착수정: 취수한 물을 모아 침전물들을 가라앉히고, 필요에 따라 약품을 투입한다.
- 혼화: 응집제 등의 약품을 물에 빠르게 섞어 오염 물질들이 엉겨 붙도록 한다.
- 응집: 혼화된 물 속의 작은 입자들이 서로 뭉쳐 더 큰 덩어리(플록)를 형성하도록 한다.
- 침전: 플록을 중력에 의해 가라앉혀 제거한다.
- 여과: 침전된 물을 모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여과층을 통과시켜 미세한 입자들을 제거한다.
- 소독: 염소, 오존, 자외선 등을 사용하여 물속의 세균, 바이러스 등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한다.
- 정수지: 소독된 물을 저장하여 수돗물 수요에 대비한다.
- 송수: 정수된 물을 배수지를 거쳐 각 가정이나 사업체로 공급한다.
관련 용어
- 상수원수: 정수장에서 처리하기 전의 물.
- 응집제: 물속의 오염 물질들을 엉겨 붙게 하는 약품.
- 플록(Floc): 응집 과정을 통해 형성된 오염 물질 덩어리.
- 배수지: 정수장에서 송수된 물을 저장하고 수압을 조절하는 시설.
참고 문헌
- 상수도 관련 법규
- 환경 관련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