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미어
접미어는 어근이나 어간의 뒤에 붙어 그 뜻을 제한하거나 새로운 뜻을 더하는 말이다. 접미사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없으며, 반드시 다른 형태소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접미사는 품사를 바꾸기도 하고, 의미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만들기도 한다.
기능
접미사는 크게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 품사 파생: 명사를 동사로 (예: '공부' + '-하다' → '공부하다'), 동사를 명사로 (예: '먹-' + '-이' → '먹이') 바꾸는 등 단어의 품사를 변경한다.
- 의미 첨가: 어근의 기본적인 의미에 새로운 의미를 더하거나, 의미를 구체화한다. (예: '덮개', '지붕', '쟁이' 등)
종류
접미사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주로 품사를 바꾸는 '파생 접미사'와 의미를 더하는 '한정적 접미사'로 나눌 수 있다.
- 파생 접미사: 단어의 품사를 바꾸는 접미사. (예: '-하다', '-되다', '-스럽다', '-이', '-음', '-기' 등)
- 한정적 접미사: 단어의 의미를 제한하거나 구체화하는 접미사. (예: '-개', '-꾼', '-님', '-적', '-성' 등)
예시
다음은 접미사의 몇 가지 예시이다.
- -하다: 명사에 붙어 동사를 만듦 (예: 공부 + -하다 → 공부하다)
- -이: 동사나 형용사에 붙어 명사를 만듦 (예: 슬프- + -이 → 슬픔)
- -개: 도구나 물건을 나타냄 (예: 덮- + -개 → 덮개)
- -쟁이: 어떤 일을 전문적으로 하거나 그런 성향이 있는 사람을 나타냄 (예: 욕심 + -쟁이 → 욕심쟁이)
- -님: 존경의 의미를 더함 (예: 선생님 + -님 → 선생님)
활용
접미사는 한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만들고, 다양한 의미를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접미사를 이해하고 활용하면 언어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