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48,401건

전자정부프레임워크

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대한민국 정부가 정보 시스템 구축 시 표준화된 개발 환경과 공통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오픈소스 기반의 프레임워크이다. 정보화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며,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요

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2009년 처음 공개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거듭해왔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개발 도구 및 템플릿, 공통 컴포넌트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표준화된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주요 기능 및 특징

  • 표준 개발 환경: 개발 표준, 아키텍처, 개발 방법론 등을 제공하여 시스템 개발의 일관성을 유지한다.
  • 공통 컴포넌트: 사용자 인증, 권한 관리, 로깅, 배치 처리 등 다양한 공통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품질을 향상시킨다.
  • 오픈소스 기반: 오픈소스 라이선스(MPL 2.0)를 채택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다.
  • 확장성 및 유연성: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춰 시스템을 확장하고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상호운용성: 표준 기술을 적용하여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을 용이하게 한다.

활용 분야

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정부 기관 및 공공 기관의 정보 시스템 구축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민간 기업에서도 활용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웹 기반의 정보 시스템, 업무 시스템, 대민 서비스 시스템 등에 적용된다.

구성 요소

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크게 실행환경, 개발환경, 운영환경으로 구성된다.

  • 실행환경: 실제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으로, 스프링 컨테이너, 공통 컴포넌트 등으로 구성된다.
  • 개발환경: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개발 도구, 템플릿, 가이드라인 등을 제공한다.
  • 운영환경: 시스템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모니터링 도구, 배포 도구 등을 제공한다.

관련 기술

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MyBatis, Tiles, Log4j 등 다양한 오픈소스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웹 표준 기술 (HTML, CSS, JavaScript) 및 데이터베이스 기술 (MySQL, PostgreSQL, Oracle 등)을 지원한다.

참고 자료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공식 웹사이트

기여

전자정부프레임워크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서 누구나 기여할 수 있다. 버그 수정, 기능 개선, 문서 작성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기여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