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생
재수생은 대한민국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하여 대학 입학에 실패한 후, 다음 해의 대학 입학을 목표로 다시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정규 고등학교 졸업 후 곧바로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대학 입시를 위해 추가적인 시간을 갖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개요
재수생은 일반적으로 사설 학원 (재수 학원)이나 독학을 통해 학습하며, 이전 시험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보완하여 다음 시험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고자 노력한다. 재수생의 수는 매년 대학 입시 경쟁률, 시험 난이도, 입시 정책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한다.
재수 방법
- 재수 학원: 입시 전문 학원에서 제공하는 커리큘럼에 따라 체계적인 학습을 진행한다. 강사진의 지도, 학습 자료 제공, 모의고사 실시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독학 재수: 학원의 도움 없이 스스로 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이 중요하며, 인터넷 강의나 교재를 활용하여 학습한다.
- 기타: 일부 학생들은 개인 과외, 스터디 그룹 등을 통해 학습하기도 한다.
재수 관련 용어
- N수생: 재수를 1회 이상 한 학생을 의미하며, 삼수생, 사수생 등으로 세분화된다.
- 반수생: 대학에 재학 중인 상태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다시 준비하는 학생을 의미한다.
사회적 인식
재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과거에 비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투자로 보는 시각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입시 경쟁의 심화와 관련된 스트레스, 경제적 부담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