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430건

자파

자파(जप, Japa)는 인도계 종교인 힌두교, 불교(특히 밀교), 시크교, 자이나교 등에서 수행하는 명상 기법 중 하나이다. 이는 신성한 이름, 신의 이름, 만트라(주문), 또는 경전 구절 등을 반복하여 외우는 수행 방식을 의미한다.

자파의 목적은 다양하며, 주로 마음의 집중력을 높이고 산란한 생각을 가라앉히며, 신이나 깨달음의 대상과 연결되거나 특정 영적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원 '자파(Japa)'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जप (japa)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나직이 말하다', '속삭이다', '중얼거리다' 등의 의미를 갖는다.

수행 방식 자파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 소리 내어 외우기 (Vaikhari Japa): 비교적 큰 소리로 만트라나 이름을 반복한다. 초심자에게 적합하며 집중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속삭이며 외우기 (Upamsu Japa): 입술을 움직이거나 작은 소리를 내며 거의 속삭이듯이 반복한다. 소리 내는 방식보다 더 미묘한 집중력을 요구한다.
  • 마음속으로 외우기 (Manasika Japa): 소리 없이 마음속으로 만트라나 이름을 반복한다. 가장 높은 단계의 자파로 여겨지며 강한 집중력이 필요하다.

자파를 수행할 때는 말라(Mala) 또는 염주라고 불리는 구슬 목걸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말라는 보통 108개의 구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구슬을 넘기면서 만트라나 이름을 한 번씩 외워 반복 횟수를 세는 데 사용된다.

목적과 중요성 자파는 각 종교와 전통에 따라 미묘하게 다른 목적과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추구한다.

  • 마음의 집중: 반복적인 암송을 통해 산만한 생각을 줄이고 마음을 한 곳에 모으는 훈련을 한다.
  • 번뇌 제거: 부정적인 생각이나 감정에서 벗어나 마음을 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영적 연결: 신의 이름이나 만트라에 담긴 신성한 에너지나 의식과 연결된다고 믿어진다.
  • 기억력 및 정신력 강화: 반복적인 집중을 통해 정신적인 힘을 기른다.
  • 깨달음 또는 해탈 추구: 궁극적으로는 마음의 평화, 자기 실현 또는 깨달음에 이르는 길의 하나로 여겨진다.

힌두교에서는 특정 신의 이름을 반복하는 '나마 자파(Nama Japa)'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며, 신과의 관계를 깊게 하고 신성한 은총을 얻는 방법으로 간주된다. 불교 밀교에서는 특정 만트라를 반복하여 깨달음을 얻거나 특정한 공덕을 쌓는 수행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