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24건

자린고비

자린고비는 몹시 인색하고 구두쇠인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다. 극단적으로 검소함을 추구하여 필요 이상의 지출을 극도로 꺼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사용된다.

어원

"자린고비"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은 조선 시대 효령대군의 후손인 조륵(趙륵)이라는 사람이 지나치게 검소한 생활을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다. 조륵은 간장 한 종지를 오랫동안 먹기 위해 파리가 앉으면 파리를 쫓아낸 후 파리가 묻힌 자리에 간장을 찍어 먹었다는 일화로 유명하다. 이러한 극단적인 절약 정신 때문에 '짠돌이'의 대명사처럼 여겨지게 되었다.

다른 설로는 '자린'이라는 말이 '잔(殘)'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즉, 남은 음식을 아껴 먹거나, 낡은 물건을 재활용하는 등의 행위를 빗대어 '자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에 '고비'는 '고삐'에서 유래하여, 씀씀이를 억제하고 조절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낸다는 해석도 있다.

특징 및 비판

자린고비는 극단적인 절약 정신을 바탕으로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재산을 모으는 데 집중한다. 이러한 면에서는 근검절약하는 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친 절약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주변 사람들에게 인색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때로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출까지 꺼리는 모습은 부정적인 시선을 받기도 한다.

유사 표현

  • 구두쇠
  • 짠돌이
  • 수전노
  • 구렁이 담 넘어가듯 한다
  •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넌다

관련 속담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자린고비가 잃고 나서 후회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속담
  •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 지나치게 아끼려다가 오히려 더 큰 손해를 보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속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