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296건

인자요산 지자요수

인자요산 지자요수 (仁者樂山 知者樂水)는 논어 옹야편(雍也篇)에 나오는 구절로,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는 뜻이다. 이 구절은 공자가 인(仁)과 지(智)를 갖춘 사람의 성향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산과 물이 각각 가진 속성을 통해 인간의 이상적인 모습을 설명하고 있다.

상세 설명

  • 인자(仁者): 어진 사람. 인(仁)은 유교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인간에 대한 사랑과 공경, 그리고 도덕적인 이상을 추구하는 마음을 의미한다.
  • 요산(樂山): 산을 좋아함. 산은 묵묵히 제자리를 지키며 변화하지 않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어진 사람은 산처럼 중후하고 덕이 높아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산은 만물을 포용하고 기르는 역할을 하므로, 어진 사람이 백성을 사랑하고 보살피는 모습과 연결되기도 한다.
  • 지자(知者): 지혜로운 사람. 지(智)는 사물의 이치를 깨닫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능력이다.
  • 요수(樂水): 물을 좋아함. 물은 끊임없이 흐르며 변화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혜로운 사람은 물처럼 막힘없이 흐르며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갖추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고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겸손함을 지니고 있으므로, 지혜로운 사람이 세상을 이롭게 하고 자신을 낮추는 모습과 연결되기도 한다.

함의

"인자요산 지자요수"는 단순히 산과 물을 좋아하는 취향의 문제가 아니라, 인(仁)과 지(智)를 갖춘 이상적인 인간의 성품과 삶의 태도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다. 이 구절은 유교 사상의 핵심 가치인 인(仁)과 지(智)를 강조하며, 인간이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동양 사상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표현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