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9,690건

이집트 복음서

이집트 복음서(Gospel of the Egyptians)는 고대 영지주의 문헌 중 하나를 가리키는 명칭이다. 이 명칭으로 알려진 문헌은 사실 두 가지의 서로 다른 텍스트를 지칭할 수 있으며, 둘 다 이집트 지역에서 발견되거나 관련이 있다. 이 문헌들은 특히 기독교 초기 시대의 다양한 사상적 흐름, 특히 영지주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개요

이집트 복음서는 정경 복음서(마태오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 루카 복음서, 요한 복음서)와는 내용과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주로 영지주의적 우주론, 신화, 혹은 예수의 어록 등을 담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집트 복음서'라고 할 때는 1945년 이집트 나그함마디에서 발견된 코덱스에 포함된 콥트어 텍스트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나, 초대 교부들에 의해 인용된 별개의 그리스어 텍스트도 존재한다.

두 가지 복음서

  1. 콥트어 이집트 복음서(Coptic Gospel of the Egyptians):

    • 1945년 이집트 나그함마디에서 발견된 나그함마디 문서(Nag Hammadi Library) 가운데 코덱스 III와 IV에 포함된 문헌이다.Pearson, Birger A. "The Coptic Gospel of the Egyptians." In Nag Hammadi Codex III, 2 and 4: The Gospel of the Egyptians (II,2) and the Resurrection Discourse (III,4). Edited by Birger A. Pearson. Leiden: Brill, 1981.
    • 주로 세트파(Sethian) 영지주의의 우주론, 신들의 계보, 구원의 서사 등을 장황하고 때로는 난해한 시적 또는 찬송가 형식으로 설명한다.
    • 세트파 영지주의의 주요 신화적 인물 및 개념들(예: 보이지 않는 영, 세트, 영적 씨앗 등)이 등장한다.
    • 그리스어 이집트 복음서와는 내용과 성격이 완전히 다른 별개의 문헌이다.
  2. 그리스어 이집트 복음서(Greek Gospel of the Egyptians):

    • 현재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지 않으며, 주로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Clement of Alexandria)와 같은 초대 교부들의 인용을 통해 내용 일부만이 알려져 있다.Klauck, Hans-Josef. Apocryphal Gospels: An Introduction. Translated by Brian McNeil. London: T&T Clark, 2003.
    • 클레멘스의 기록에 따르면, 이 복음서는 금욕주의적이고 독신 생활을 강조하는 예수의 어록을 담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성적 관계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이 포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콥트어 이집트 복음서와는 시대와 내용 면에서 명확히 구분된다.

내용 및 특징

콥트어 이집트 복음서는 복잡한 우주론과 신현(theophany)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 창조 이전의 심연(Abyss)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아이온(Aeon)들과 영적인 존재들의 계보를 서술하며, 특히 세트(Seth)를 영적 인류의 조상으로 여기는 세트파 영지주의의 관점을 잘 보여준다. 이 텍스트는 일반적인 복음서의 서사나 어록 형식보다는 신화적, 찬송가적 특성을 강하게 띤다. 세상을 창조한 열등한 신(데미우르고스)과 참된 신(아버지)의 구분이 나타나며, 구원은 영적 지식(그노시스)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설명한다.

그리스어 이집트 복음서는 단편적인 인용만을 통해 알려져 있으나, 결혼과 출산을 부정하고 영적인 재생을 강조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발견

콥트어 이집트 복음서는 1945년 이집트 나일강 상류의 나그함마디 근처에서 발견된 고대 문헌들의 집합체인 나그함마디 문서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 문서는 4세기경에 콥트어로 번역되어 파피루스 코덱스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

이집트 복음서(특히 콥트어 버전)는 초기 영지주의, 그중에서도 세트파 영지주의의 사상과 신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1차 자료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정통 기독교 복음서들과 비교하며 초기 기독교 시대의 사상적 다양성을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문헌이다. 이 문헌들의 발견은 20세기 영지주의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그리스어 이집트 복음서는 초기 기독교 금욕주의 사상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같이 보기

  • 나그함마디 문서
  • 영지주의
  • 세트파 영지주의
  •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 외경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