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438건

이빨

이빨(치아, tooth/teeth)은 척추동물의 구강 내에 위치하는 경조직으로, 음식물을 자르고, 찢고, 씹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이빨의 구조와 형태는 종에 따라 다양하며, 식성과 섭식 방식에 따라 특징적으로 발달되어 있다.

구조

이빨은 크게 치관(crown), 치경(neck), 치근(root)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 치관 (Crown): 입 안에서 보이는 부분으로, 법랑질(enamel)이라는 단단한 조직으로 덮여 있다. 법랑질은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이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이빨을 보호한다. 법랑질 아래에는 상아질(dentin)이 있으며, 치수강(pulp cavity)을 둘러싸고 있다.
  • 치경 (Neck): 치관과 치근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잇몸에 의해 덮여 있다.
  • 치근 (Root): 잇몸 속에 묻혀 있는 부분으로, 치주인대(periodontal ligament)를 통해 턱뼈에 고정되어 있다. 치근은 시멘트질(cementum)로 덮여 있으며, 치근 끝에는 치근단공(apical foramen)이 있어 신경과 혈관이 통과한다.
  • 치수 (Pulp): 치수강 내부에 있는 연한 조직으로, 신경, 혈관, 림프관 등이 포함되어 이빨에 영양을 공급하고 감각을 전달한다.

종류

포유류의 이빨은 일반적으로 절치(incisor), 견치(canine), 소구치(premolar), 대구치(molar)의 네 가지 종류로 나뉜다. 각각의 이빨은 형태와 기능이 다르며, 식성에 따라 그 수와 크기가 다르게 발달한다. 예를 들어, 육식동물은 찢는 데 유용한 날카로운 견치가 발달한 반면, 초식동물은 씹는 데 효율적인 넓고 평평한 대구치가 발달해 있다. 어떤 동물들은 이빨이 전혀 없기도 하다.

기능

이빨의 주요 기능은 음식물의 섭취와 소화를 돕는 것이다. 이빨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자르고, 찢고, 씹어서 작은 조각으로 만들면, 소화 효소가 음식물을 더 잘 분해할 수 있다. 또한, 이빨은 발음에도 관여하는 역할을 한다.

질병

이빨은 충치, 치주염, 치아 마모 등 다양한 질병에 취약하다. 구강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

  • 법랑질
  • 상아질
  • 치수
  • 치주인대
  • 충치
  • 치주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