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진 (삼국지)
위진(魏晉)은 삼국시대 위나라(魏)가 멸망한 후부터 진나라(晉)가 멸망할 때까지의 시대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일반적으로 서진(西晉)과 동진(東晉) 시대를 아우르며, 때로는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의 일부 기간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이 시대는 정치적으로 혼란하고 사회적으로 불안정했지만, 사상, 문화, 예술 분야에서는 독특하고 혁신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습니다.
시대적 특징:
-
정치적 혼란: 위나라를 찬탈하여 건국된 서진은 팔왕의 난으로 급격히 쇠퇴하고, 북방 민족의 침입으로 인해 멸망합니다. 이후 서진의 잔존 세력은 강남 지역으로 이동하여 동진을 건국하지만, 끊임없는 내부 반란과 북방 민족의 위협에 시달립니다. 이러한 정치적 혼란은 지방 호족 세력의 성장을 촉진하고,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약화시켰습니다.
-
사회적 변화: 귀족 중심의 사회 질서가 강화되고, 문벌 귀족들이 권력을 독점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반면, 사회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궁핍해지고, 유랑민이 증가하는 등 사회 불안이 심화되었습니다.
-
사상 및 문화의 발전: 유교적 가치관이 쇠퇴하고, 노장사상(老莊思想)과 현학(玄學)이 유행하면서 개인의 자유와 자연주의적 삶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죽림칠현(竹林七賢)과 같은 인물들이 이러한 사상적 흐름을 대표합니다. 또한, 불교가 중국 사회에 본격적으로 전파되면서 다양한 불교 사상과 예술이 발달하게 됩니다. 서예, 회화 등 예술 분야에서도 새로운 경향이 나타나며, 위진 시대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형성합니다.
-
주요 사건: 사마염의 위나라 찬탈, 팔왕의 난, 영가의 난, 동진 건국, 비수대전 등이 위진 시대를 대표하는 주요 사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