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536건

위궤양

위궤양은 위 점막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소화성 궤양의 일종으로, 위산과 펩신에 의해 위벽이 손상되어 점막이 파괴되고 깊게 패인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십이지장 궤양과 함께 소화성 궤양으로 분류된다.

원인

위궤양의 주요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의 장기 복용이 꼽힌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 점막에 서식하며 위 점막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유발하여 궤양 발생 위험을 높인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위 점막 보호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여 위 점막을 약화시키고 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 그 외 흡연, 과도한 음주, 스트레스 등도 위궤양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증상

위궤양의 주요 증상은 명치 부위의 통증이다. 통증은 식사 후 30분에서 3시간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음식 섭취로 인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 외 속쓰림, 소화불량, 구토, 체중 감소,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경우 위장 출혈로 인해 흑색변을 보거나 토혈을 할 수도 있다.

진단

위궤양은 주로 위내시경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위내시경 검사를 통해 위 점막의 상태를 직접 관찰하고 궤양의 위치, 크기, 깊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요소호기검사, 조직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치료

위궤양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 원인인 경우 항생제를 사용하여 균을 박멸하는 치료를 시행한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이 원인인 경우 약물 복용을 중단하거나 대체 약물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프로톤펌프억제제, H2 수용체 차단제)을 사용하여 위 점막을 보호하고 궤양을 치유하는 치료를 병행한다. 그 외 금연, 금주, 스트레스 해소 등 생활 습관 개선도 중요하다.

합병증

위궤양을 방치할 경우 위장 출혈, 위천공, 위협착 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위장 출혈은 빈혈을 유발하고, 위천공은 복막염을 일으키며, 위협착은 음식물 섭취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예방

위궤양 예방을 위해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감염된 경우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 시에는 의사와 상담 후 복용량을 조절하고, 위 점막 보호제를 함께 복용하는 것이 좋다. 금연, 금주, 스트레스 해소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위궤양 예방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