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수
오수는 일반적으로 가정, 상업 시설, 공공 시설 등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좁은 의미로는 변기에서 배출되는 분뇨를 제외한 하수를 의미하며, 넓은 의미로는 분뇨를 포함한 모든 생활 하수를 포함한다.
정의 및 분류
오수는 발생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생활 오수: 가정에서 발생하는 하수로, 음식물 찌꺼기, 세탁수, 목욕물 등이 포함된다.
- 산업 오수: 공장, 사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하수로, 제조 공정, 세척 과정 등에서 발생한다. 산업 오수는 특정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 별도의 처리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 축산 오수: 가축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수로, 분뇨, 사료 찌꺼기 등이 포함된다. 축산 오수는 높은 농도의 유기물과 질소, 인 등을 함유하고 있어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오염 물질
오수는 다양한 오염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요 오염 물질은 다음과 같다.
- 유기물: 음식물 찌꺼기, 세제, 분뇨 등 다양한 유기물질은 수중 생물의 산소 소비량을 증가시켜 수질 오염을 유발한다.
- 부유 물질: 흙, 모래, 섬유질 등 물에 녹지 않고 떠다니는 물질로, 물의 탁도를 증가시키고 수생 생물의 서식 환경을 파괴한다.
- 영양 염류: 질소, 인 등의 영양 염류는 과도한 조류 번식을 유발하여 부영양화를 초래할 수 있다.
- 병원성 미생물: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 병원성 미생물은 수인성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 기타 유해 물질: 중금속, 농약, 합성 세제 등 유해 물질은 수생 생물에 독성을 나타내고 인체 건강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처리
오수는 환경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처리를 거쳐야 한다. 일반적인 오수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물리적 처리: 침전, 여과 등을 통해 부유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 생물학적 처리: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이다. 활성 슬러지법, 생물막법 등이 사용된다.
- 화학적 처리: 화학 물질을 이용하여 인, 질소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응집 침전, 흡착 등이 사용된다.
- 고도 처리: 필요에 따라 활성탄 흡착, 막 분리 등을 통해 더욱 깨끗한 물을 얻는 과정이다.
환경 영향
오염된 오수가 적절한 처리 없이 하천, 호수 등으로 방류될 경우, 수질 오염, 토양 오염, 악취 발생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관련 법규
오수 처리에 대한 규제는 각 국가 및 지역의 관련 법규에 따라 다르다. 대한민국에서는 '하수도법', '물환경보전법' 등이 오수 처리와 관련된 주요 법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