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2건

이관규천

이관규천 (以管窺天)은 좁은 대롱으로 하늘을 엿본다는 뜻으로, 좁은 식견이나 좁은 소견으로 사물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단편적으로만 이해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유래

이 고사성어는 《장자(莊子)》의 《추수(秋水)》편에 등장한다. 장자는 황하의 신인 하백(河伯)과 북해의 신인 해약(海若)의 대화를 통해 도(道)의 광대함과 인간의 인식 능력의 한계를 설명하면서 이관규천을 언급한다. 하백이 바다를 보고 자신의 좁은 식견을 깨닫는 이야기가 주된 내용이며, 이관규천은 인간의 제한적인 시각을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의미

이관규천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내포한다.

  • 제한적인 시각: 좁은 대롱으로 하늘을 보는 것처럼, 제한된 경험이나 지식으로 사물을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 전체적인 이해 부족: 사물의 일부분만 보고 전체를 이해했다고 착각하는 어리석음을 비판한다.
  • 겸손의 중요성: 자신의 지식과 경험이 제한적임을 인정하고 끊임없이 배우고 탐구하는 자세를 강조한다.

용례

이관규천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 편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을 비판할 때
  • 자신의 분야에만 갇혀 다른 분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람을 지적할 때
  •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단편적인 정보만으로 결론을 내리는 행위를 비판할 때

참고 문헌

  • 장자(莊子) 《추수(秋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