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사소리
예사소리는 한국어의 자음 체계에서 평음이라고도 불리는, 발음할 때 성대의 울림이 없고 숨소리의 떨림이나 근육의 긴장이 없는 소리들을 지칭한다.
개요
예사소리는 한국어 자음 체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소리이며, 'ㄱ, ㄷ, ㅂ, ㅅ, ㅈ'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소리들은 발음할 때 특별한 기식(숨의 기운)이나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지 않으므로, 된소리나 거센소리와 구별된다. 예사소리는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음의 강도나 길이, 주변 음운 환경에 따라 약간의 변동을 겪기도 한다.
특징
- 무성음: 발음 시 성대의 진동이 없다.
- 기식 없음: 숨을 세게 내뱉는 기식이 없다.
- 기본 음: 된소리나 거센소리에 비해 기본적이고 편안하게 발음된다.
예시
다음은 예사소리가 사용된 단어의 예시이다.
- ㄱ: 가, 구두, 고기
- ㄷ: 다리, 두부, 도자기
- ㅂ: 바다, 부모, 보석
- ㅅ: 사과, 시계, 소나무
- ㅈ: 자전거, 주스, 조개
음운 현상과의 관계
예사소리는 다른 음운 환경과 만나 다양한 음운 현상을 겪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 뒤에 오는 예사소리는 된소리로 변하는 경우가 있으며,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음운 현상은 한국어 발음의 자연스러운 특징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