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닫이
여닫이는 경첩이나 돌쩌귀 등을 이용하여 문짝을 틀에 고정하고, 이를 축으로 하여 안팎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만든 문 또는 창문의 형태를 말한다. 회전 운동을 통해 개폐가 이루어지며, 미닫이문이나 미서기창과 같이 옆으로 밀어서 여는 방식과는 대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특징
- 구조: 여닫이는 주로 문짝, 틀, 경첩 또는 돌쩌귀 등으로 구성된다. 문짝은 나무, 금속, 유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틀은 문짝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경첩이나 돌쩌귀는 문짝을 틀에 연결하여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 개폐 방식: 문짝을 축을 중심으로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밀거나 당겨서 열고 닫는다. 개폐 방향은 설치 환경과 사용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 장점:
- 밀폐성이 우수하여 단열 및 방음 효과가 뛰어나다.
- 문을 완전히 열었을 때 넓은 개방감을 제공한다.
- 다양한 디자인과 재료를 적용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 단점:
- 문을 여닫는 공간이 필요하다. 좁은 공간에서는 사용이 불편할 수 있다.
- 미닫이문에 비해 제작 비용이 높을 수 있다.
용도
여닫이는 주택, 상업 시설, 공공 시설 등 다양한 건축물에서 문이나 창문으로 널리 사용된다. 현관문, 방문, 창문, 베란다 문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특히 단열 및 방음 성능이 중요한 곳에 많이 사용된다.
관련 용어
- 미닫이: 문짝을 옆으로 밀어서 여는 문.
- 미서기창: 창문을 옆으로 밀어서 여는 창문.
- 경첩: 두 개의 물체를 연결하여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부품.
- 돌쩌귀: 문짝을 틀에 연결하여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통적인 방식의 부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