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에이즈(AIDS), 즉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은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일련의 증상과 감염을 의미합니다. HIV는 인체의 면역 체계를 공격하여 기능을 저하시키며, 이로 인해 감염 및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집니다.
정의 및 원인:
에이즈는 HIV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CD4+ T 세포 수가 현저히 감소하고, 면역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상태를 말합니다. HIV는 주로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모유 등을 통해 전파되며, 감염된 혈액 수혈, 성관계, 주사 바늘 공유, 임신 및 출산 시 모체에서 태아로의 전파 등이 주요 감염 경로입니다.
증상:
HIV 감염 초기에는 발열, 두통, 림프절 비대, 근육통 등과 같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후 잠복기를 거쳐 면역 기능이 저하되면서 기회감염(정상적인 면역 체계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는 감염)과 특정 암(카포시 육종 등) 발생률이 증가합니다. 에이즈 환자는 폐렴, 결핵, 뇌수막염, 구강 칸디다증 등 다양한 감염에 취약해지며, 심각한 체중 감소, 설사, 만성 피로 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진단:
HIV 감염 여부는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검사로 항체를 검출하고, 양성 반응이 나올 경우 Western blot 검사로 확인합니다. 최근에는 보다 빠르고 정확한 핵산 증폭 검사(NAT)도 사용됩니다. CD4+ T 세포 수는 면역 기능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치료 및 예방:
HIV 감염은 완치될 수 없지만, 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ART)을 통해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고 면역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ART는 HIV 감염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콘돔 사용), 주사 바늘 공유 금지, 감염된 혈액 노출 방지 등이 중요합니다. HIV 감염 위험에 노출된 경우, 노출 후 예방 요법(PEP)을 통해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HIV 음성인 고위험군에게는 노출 전 예방 요법(PrEP)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