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177건

유수지

유수지는 홍수 조절을 목적으로 조성된 인공 저류 시설이다. 집중호우 시 일시적으로 빗물을 저장하여 하천의 수위를 낮추고, 하류 지역의 침수 피해를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수지는 단순히 빗물을 가두는 공간을 넘어, 도시의 방재 기능을 강화하고 생태 공간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기능

유수지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홍수 조절: 집중호우 시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하류 지역의 침수 피해를 줄인다. 저류된 빗물은 하천의 수위가 낮아진 후 서서히 방류된다.
  • 비점오염원 저감: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오염 물질을 침전시키거나 자연 정화 작용을 통해 수질을 개선한다. 이는 하천의 수질 보호에 기여한다.
  • 생태 공간 조성: 유수지 주변에 습지, 수생 식물 등을 조성하여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도시 생태계를 복원한다. 이는 도시의 생물 다양성을 증진시킨다.
  • 친수 공간 제공: 유수지 주변에 산책로, 휴식 공간 등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여가 및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이는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

종류

유수지는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 저류형 유수지: 빗물을 가두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유수지이다. 비교적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며, 주로 도심 외곽에 위치한다.
  • 침투형 유수지: 빗물을 땅속으로 침투시켜 지하수를 함양하는 유수지이다. 비교적 작은 규모로 조성될 수 있으며, 도시 곳곳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다.
  • 혼합형 유수지: 저류 기능과 침투 기능을 모두 갖춘 유수지이다. 지형 조건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성될 수 있다.

설치 및 관리

유수지는 도시 계획 단계에서부터 면밀한 검토를 거쳐 설치 위치, 규모, 형태 등이 결정된다. 유수지의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해 강우량, 수위 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이 구축되며,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 보수를 통해 유수지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또한, 유수지 주변 지역의 개발 계획과 연계하여 유수지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도 모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