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어미
홀어미는 배우자와 사별(死別)하거나 이혼(離婚), 또는 기타의 이유로 혼자서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어원 및 의미
'홀어미'는 '홀로 된 어미'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서 '홀'은 '하나' 또는 '짝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어미'는 자녀를 둔 여성을 뜻한다. 따라서 홀어미는 배우자 없이 혼자서 자녀를 키우는 여성을 의미하는 순우리말이다.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 '미망인(未亡人)'이 있으나, 이는 주로 사별한 여성을 지칭하며, 이혼이나 기타 이유로 혼자가 된 여성에게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사회적 맥락
과거에는 홀어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존재했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가족 형태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홀어미 가정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홀어미 가정은 경제적 어려움, 자녀 양육의 어려움, 사회적 고립감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나, 정부 및 사회단체의 지원을 통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고 있다.
관련 용어
- 홀아비: 배우자 없이 혼자서 자녀를 양육하는 남성을 지칭하는 단어.
- 한부모 가정: 홀어미 또는 홀아비로 이루어진 가정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 미혼모: 혼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아이를 낳아 기르는 여성을 지칭하는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