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터 결합
에스터 결합은 유기화학에서 카복실산(-COOH)과 알코올(-OH) 또는 페놀 사이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작용기 또는 연결 고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COO-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카복실산의 -OH기와 알코올의 -H기가 떨어져 나가면서 물 분자가 생성되고, 나머지 부분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축합 반응의 결과물이다. 이 반응은 에스터화 반응이라고 불리며, 종종 산 촉매 하에서 진행된다.
에스터 결합의 구조는 하나의 탄소 원자가 이중 결합을 통해 산소 원자와 연결되어 있고(-C=O), 동시에 단일 결합을 통해 다른 산소 원자와 연결되어 있으며(-O-), 이 다른 산소 원자가 다시 다른 탄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와 연결되는 형태(-C(=O)-O-R')이다. 이 결합을 통해 분자의 두 부분(카복실산에서 유래한 RCO- 부분과 알코올에서 유래한 -OR' 부분)이 연결된다.
에스터 결합은 비교적 안정하지만, 물에 의해 분해되는 가수분해 반응을 겪을 수 있다. 특히 산성 또는 염기성 조건 하에서는 가수분해가 촉진된다. 염기성 조건 하에서의 에스터 가수분해는 비누화 반응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지방(트라이글리세리드, 글리세롤과 지방산의 에스터)이 염기 가수분해되어 지방산 염(비누의 주성분)과 글리세롤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유래하였다.
에스터 결합은 자연계 및 합성 화합물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된다. 동식물의 주요 에너지 저장 형태인 지방과 오일(트라이글리세리드)은 글리세롤과 지방산의 에스터이며, 밀랍과 같은 왁스도 에스터로 구성된다. 과일이나 꽃의 향기를 내는 많은 휘발성 화합물 또한 에스터이다. 또한, 폴리에스터(PET 등)와 같은 중요한 고분자 플라스틱, 합성 향료, 의약품, 유기 용매(예: 에틸 아세테이트) 등 다양한 인공 화합물에서도 에스터 결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인산 에스터 결합은 DNA와 RNA의 골격을 이루는 등 생체 분자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