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2건

십년지계

십년지계(十年之計)는 10년을 내다보는 계획이라는 뜻으로,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야 할 큰 목표를 세우고 꾸준히 노력해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어원 및 유래

《관자(管子)》 〈권수(權修)〉편에 나오는 말로, "일년지계 막여수곡(一年之計 莫如樹穀), 십년지계 막여수목(十年之計 莫如樹木), 종신지계 막여수인(終身之計 莫如樹人)" (1년의 계획은 곡식을 심는 것만 한 것이 없고, 10년의 계획은 나무를 심는 것만 한 것이 없고, 평생의 계획은 사람을 심는 것만 한 것이 없다)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서 '수인(樹人)'은 인재를 육성한다는 의미이다.

의미

십년지계는 눈앞의 이익에 급급하지 않고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개인의 발전은 물론 사회 전체의 발전을 위해서도 장기적인 계획과 꾸준한 실천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활용

주로 교육, 경제, 사회 정책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교육 정책을 수립할 때 "십년지계를 세워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기업 경영에서도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수립할 때 이 표현을 사용하여 미래를 준비하는 자세를 강조할 수 있다.

유사한 표현

  • 백년대계(百年大計): 100년 앞을 내다보는 큰 계획
  • 원대한 계획
  • 장기적인 안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