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3,868건

자유시

자유시는 정형시의 엄격한 형식에서 벗어나, 시인의 자유로운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시의 한 형태이다. 일정한 운율, 음보, 시행의 수, 각운 등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개요

자유시는 전통적인 시의 형식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으며,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서구 문학에서 널리 확산되었다. 한국에서는 1910년대 이후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현대시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징

  • 형식의 자유: 정해진 운율, 음보, 시행의 수, 각운 등의 제약이 없다. 시인은 자신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시의 형식을 구성할 수 있다.
  • 내용의 자유: 형식의 자유와 마찬가지로, 내용 또한 제한 없이 다룰 수 있다. 사회 문제, 개인의 내면, 자연 현상 등 다양한 주제를 시인의 관점에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 개성의 강조: 시인의 개성과 독창적인 표현 방식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획일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시인만의 독특한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다.
  • 산문성: 일정한 운율이나 리듬을 강조하지 않기 때문에, 산문적인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운율적인 요소가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내재율이나 의미의 강조를 통해 시적인 효과를 창출하기도 한다.

유의점

자유시가 형식이 자유롭다고 해서 아무렇게나 쓴 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자유로운 형식 속에서도 시적인 긴장감, 의미의 함축, 독창적인 표현 등을 통해 독자에게 감동과 깨달음을 전달해야 한다.

참고 문헌

  • 한국현대시사
  • 문학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