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사
악사는 음악을 전문적으로 연주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특히 한국 전통 음악 분야나 특정 악단(樂團), 예를 들어 궁중(宮中)이나 예식(禮式) 등 공식적인 자리에서 음악 활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았다. 한자로는 '풍류를 즐길 악(樂)'과 '스승 사(師)'를 사용하여 '樂師'라고 쓴다.
역사적 맥락 역사적으로 악사는 국가나 왕실의 음악 기관에 소속되어 의례, 연회, 제사 등 다양한 공식 행사에서 음악을 연주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고려 시대나 조선 시대의 장악원(掌樂院)과 같은 기관에 소속된 전문 음악인들이 악사에 해당하며, 이들은 국가에서 필요한 음악을 연주하고 때로는 작곡하거나 악기를 관리하기도 했다. 이 시기의 악사들은 신분에 따라 지위나 역할에 차이가 있었다. 악사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던 '악공(樂工)'은 주로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악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지위에 놓이기도 했다.
역할 및 특징 악사는 기본적으로 악기 연주 능력이 뛰어나다. 특정 악기 하나 이상을 전문적으로 다루며, 합주나 독주 등 다양한 형태로 음악을 표현한다. 과거에는 궁중 음악, 제례악, 연례악 등 특정 목적의 음악을 연주하는 것이 주요 역할이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통 음악 연주자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음악가'나 '연주자'라는 보다 포괄적인 용어가 널리 쓰인다. '악사'라는 단어 자체에는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뉘앙스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다.
현대적 의미 현대 사회에서 '악사'라는 단어는 특정 전통 악단의 구성원이나 중요 무형 문화재 등으로 지정된 전통 음악 연주자들을 가리킬 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서양 음악 분야나 대중 음악 분야의 연주자에게는 일반적으로 '악사'보다는 '음악가', '연주자', '세션맨' 등의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문적으로 음악을 다루는 사람, 특히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음악 전문가를 일컫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관련 용어
- 음악가: 음악을 창작하거나 연주, 연구하는 등 음악과 관련된 전문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 악사보다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 연주자: 악기나 목소리를 이용해 음악을 실제로 소리 내어 들려주는 사람.
- 악공: 과거 음악 기관에 소속되어 악기를 연주하던 사람. 악사와 유사하거나 하위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 국악인: 한국 전통 음악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