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심전도(心電圖, Electrocardiography, ECG 또는 EK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심장 근육이 수축하고 이완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체표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감지하여 그래프 형태로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심장의 리듬, 전기적 자극의 전도 상태, 심장 근육의 손상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개요
심전도는 비침습적인 검사로, 환자에게 큰 불편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심혈관 질환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부정맥, 심근경색, 심장비대, 전해질 불균형 등 다양한 심장 질환의 진단에 활용되며, 수술 전 검사, 건강 검진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시행됩니다.
원리
심장은 동방결절에서 시작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규칙적으로 수축하고 이완합니다. 이 전기적 신호는 심방과 심실을 거쳐 심장 전체로 퍼져나가는데, 이때 발생하는 전위차를 전극을 통해 감지합니다. 심전도 기계는 이 전위차를 시간에 따라 그래프 형태로 기록하며, 이 그래프를 분석하여 심장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검사 방법
심전도 검사는 보통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 환자는 침대에 편안하게 누운 자세를 취합니다.
- 의료진은 환자의 팔, 다리, 가슴에 전극을 부착합니다.
- 심전도 기계는 전극을 통해 심장의 전기적 신호를 기록합니다.
- 검사 시간은 대개 5-10분 정도 소요됩니다.
심전도 파형
심전도 그래프는 P파, QRS파, T파, U파 등으로 구성되며, 각 파형은 심장의 특정 부위의 전기적 활동을 나타냅니다.
- P파: 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냅니다.
- QRS파: 심실의 탈분극을 나타냅니다.
- T파: 심실의 재분극을 나타냅니다.
- U파: (경우에 따라 나타남) 심실의 후속 재분극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각 파형의 모양, 크기, 간격 등을 분석하여 심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합니다.
심전도 판독
심전도 판독은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며, 일반적으로 의사가 수행합니다. 심전도 그래프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심박수
- 심장 리듬 (정상 리듬인지 부정맥인지)
- 심장의 전기적 자극 전도 상태
- 심근경색의 유무 및 위치
- 심장비대 유무
- 전해질 불균형 여부
- 약물 효과
심전도의 종류
- 표준 심전도: 가장 일반적인 심전도 검사 방법입니다.
- 홀터 심전도: 24시간 또는 그 이상 동안 지속적으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부정맥을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 운동 부하 심전도: 운동 중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협심증 진단에 사용됩니다.
- 사건 기록 심전도: 증상이 발생할 때 심전도를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드물게 발생하는 부정맥 진단에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