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반말

반말은 상대방의 나이, 지위, 친밀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높임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말투를 가리킨다. 한국어의 존댓말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상황에 따라 무례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린아이나 친한 사이의 사람들 사이에서는 자연스럽게 사용되지만, 격식을 갖춰야 하는 상황이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사용하면 예의에 어긋난다고 여겨진다. 반말의 사용 여부는 사회적 맥락, 관계의 성격, 그리고 개인의 성향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비슷한 의미로 '낮춤말'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낮춤말'은 듣는 사람을 낮추는 표현에 초점을 맞춘 반면, '반말'은 높임의 표현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 더 무게가 실린다. 반말 사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하며,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친밀감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여전히 상황에 맞지 않는 반말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문법적 특징: 반말은 주로 종결어미의 사용에 따라 구분된다. 예를 들어, 존댓말의 '-습니다/읍니다'와 같은 높임 종결어미 대신 '-다', '-어/아' 와 같은 낮춤 종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주어와 목적어의 높임 표현을 생략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사회적 맥락: 반말 사용은 사회적 관계에 따라 적절성이 달라진다. 가족 구성원 간, 특히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는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지만, 직장 상사나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사람에게 반말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무례한 행위로 간주된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같은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반말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친밀감 형성이나 속도감 있는 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이로 인한 갈등도 발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