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금
실금 (失禁, incontinence)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나 대변이 새어 나오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신체의 조절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증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실금은 일시적이거나 만성적일 수 있으며, 그 정도 또한 가벼운 수준에서 심각한 수준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원인
실금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요실금 (Urinary incontinence): 방광 또는 요도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요로 감염, 임신, 출산, 비만, 신경 손상, 특정 약물 복용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종류로는 복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 일류성 요실금, 혼합성 요실금 등이 있다.
- 변실금 (Fecal incontinence): 항문 괄약근의 약화 또는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변비, 설사, 염증성 장 질환, 항문 수술, 노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
실금의 주된 증상은 의도하지 않은 소변 또는 대변의 누출이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 잦은 소변 또는 대변 마려움
- 소변 또는 대변을 보기 힘든 느낌
- 방광 또는 직장의 팽만감
- 피부 자극 및 감염
진단
실금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가 시행될 수 있다. 의료진은 병력 청취, 신체 검진, 소변 검사, 대변 검사, 방광 기능 검사, 항문 내압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린다.
치료
실금의 치료는 원인과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된다.
- 생활 습관 개선: 수분 섭취 조절, 식이 섬유 섭취 증가, 규칙적인 배변 습관, 체중 감량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 약물 치료: 요실금의 경우 방광 수축을 억제하는 약물이나 요도 괄약근을 강화하는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변실금의 경우 변비나 설사를 조절하는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 물리 치료: 골반저근 운동 (케겔 운동)은 요실금과 변실금 모두에 효과적이다. 바이오피드백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수술적 치료: 약물 치료나 물리 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할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요실금의 경우 요도 슬링 수술, 인공 괄약근 삽입술 등이 시행될 수 있으며, 변실금의 경우 괄약근 성형술 등이 시행될 수 있다.
예방
실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적절한 체중 유지
- 규칙적인 운동 (특히 골반저근 운동)
- 식이 섬유가 풍부한 식단 섭취
- 변비 예방
- 금연
- 과도한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 제한
- 방광 자극 식품 (예: 매운 음식, 탄산 음료) 섭취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