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다
시다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 한국어 단어이다.
1. 맛: 혀를 자극하는 신맛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다. 주로 과일, 발효 식품 등에서 느껴지는 맛으로, 구연산, 초산 등의 산성 물질에 의해 발생한다. 신맛은 단맛, 짠맛, 쓴맛, 감칠맛과 함께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다섯 가지 기본 맛 중 하나이다. 예) 레몬은 매우 시다. 식초의 신맛.
2. (비유적 의미) 마음이 언짢거나 불쾌함: 어떤 상황이나 감정이 좋지 않거나 마음에 들지 않을 때 사용되는 비유적인 표현이다. 질투, 시기, 불만족 등의 감정을 내포할 수 있다. 예) 배가 아픈 친구를 보니 마음이 시다.
3. (사투리) 젖다: 일부 지역에서는 '시다'가 '젖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4. 파생어 및 관련 표현:
- 시큼하다: 약간 신 맛을 나타내는 형용사.
- 새콤달콤하다: 신맛과 단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맛을 나타내는 형용사.
- 시어머니: (속담) 며느리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시어머니를 빗대어, 심술궂거나 까다로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어머니 신 김치 싫어한다"라는 속담이 있다.
- 신물: 위산이 역류하여 입 안으로 올라오는 시큼한 액체.
- 신포도: 이솝 우화에 나오는 여우처럼, 얻을 수 없는 것을 폄하하는 심리를 나타내는 표현.
5. 어원: '시다'의 어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대 한국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