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362건

순사

순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소속의 하급 경찰관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일본 제국 경찰의 계급 체계에서 순사(巡査, じゅんさ)에 해당하는 직급으로, 한국어 발음으로 음차되어 그대로 사용되었다.

개요

순사는 식민 통치기구의 말단 조직으로서 치안 유지, 범죄 수사, 행정 업무 보조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조선인 순사도 존재했지만, 주요 직책은 일본인 순사가 맡았으며 조선인 순사는 주로 하위 업무를 담당했다. 순사는 식민지 백성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었으며, 일제의 폭압적인 통치를 상징하는 존재로 인식되었다.

역할 및 기능

  • 치안 유지: 관할 구역 내 순찰을 통해 치안을 유지하고 범죄를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범죄 수사: 각종 범죄 사건을 수사하고 범인을 체포하는 업무를 담당했다.
  • 행정 업무 보조: 총독부의 각종 행정 업무를 보조하고 민원 업무를 처리했다.
  • 정보 수집: 지역 주민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정보를 수집하여 상부에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사상 통제: 독립운동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독립운동가를 체포하는 등 사상 통제 업무에 관여했다.

계급

일본 제국 경찰의 계급 체계는 다음과 같다. 순사는 가장 하위 계급에 해당한다.

  • 경시총감 (警視総監)
  • 경시감 (警視監)
  • 경시장 (警視長)
  • 경시정 (警視正)
  • 경시 (警視)
  • 경부 (警部)
  • 경부보 (警部補)
  • 순사부장 (巡査部長)
  • 순사 (巡査)

참고 자료

  •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 2009.
  • 강만길, 『한국분단사』, 창작과비평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