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불량
소화불량(Dyspepsia)은 위장관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증상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특정 질환이라기보다는 여러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군입니다. 일반적으로 식사 후 상복부 불편감, 조기 포만감, 복부 팽만감, 속쓰림,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식사량과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과 그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소화불량은 기능성 소화불량과 기질성 소화불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위장관의 구조적 이상이나 대사 질환, 감염 등 명확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하며, 위장 운동 이상, 내장 과민성, 뇌-장 축의 기능 장애 등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기질성 소화불량은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 식도염, 담석증 등과 같이 위장관의 특정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소화불량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병력 청취를 통해 이루어지며, 필요한 경우 위내시경 검사, 복부 초음파 검사,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하여 기질적인 원인을 감별합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식습관 개선, 약물 치료(위산 억제제, 위장 운동 촉진제, 제산제 등), 스트레스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생활 습관 개선으로는 규칙적인 식사, 과식 피하기, 기름진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 줄이기, 금연, 절주 등이 권장됩니다. 만성적인 소화불량의 경우,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