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5,681건

섬유소원

섬유소원(纖維素元, fibroblast)은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주요 세포 중 하나이다. 이 세포는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의 구성 성분인 콜라겐, 탄성 섬유, 레티큘라 섬유,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 등의 단백질과 다당류를 합성하고 분비하는 역할을 한다. 섬유소원은 조직의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고, 상처 치유 및 조직 복구 과정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

  • 세포 외 기질 합성: 결합 조직의 물리적 특성(강도, 유연성 등)을 결정하는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와 기질 물질을 생산하여 조직의 형태와 기능을 유지한다.
  • 조직 복구 및 상처 치유: 손상된 조직 부위로 이동하여 증식하고, 세포 외 기질을 대량 생산하여 상처 부위를 채우고 재건한다. 특히 상처 치유 과정에서는 수축 능력이 있는 마이오섬유아세포(myofibroblast)로 분화하여 상처 부위를 오므리는 데 기여한다.
  • 조직 항상성 유지: 기존의 세포 외 기질을 분해하고 새로운 기질을 합성하는 과정을 통해 조직의 정상 상태(homeostasis)를 유지한다.

구조

섬유소원은 일반적으로 방추형(spindle-shaped) 또는 납작한 형태를 가지며, 길고 가느다란 세포 돌기를 뻗어 주변 세포나 세포 외 기질과 상호작용한다. 핵은 타원형 또는 길쭉하며, 단백질 합성이 활발한 세포답게 발달된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와 골지체(Golgi apparatus)를 세포질 내에 가지고 있다.

기원 및 분포

섬유소원은 주로 중배엽(mesoderm)에서 유래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로부터 분화한다. 인체의 거의 모든 결합 조직에 존재하며, 피부의 진피층, 힘줄, 인대, 근막, 골수, 장기 주변 조직 등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임상적 중요성

섬유소원은 정상적인 생리 과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병리학적 상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상처 치유: 상처가 발생하면 섬유소원이 활성화되어 증식하고 세포 외 기질을 침착시켜 조직 복구를 돕는다.
  • 섬유증(Fibrosis): 만성 염증이나 지속적인 자극에 의해 섬유소원이 과도하게 활성화되고 세포 외 기질을 지나치게 많이 침착시키면 조직이 딱딱해지는 섬유증이 발생한다. 이는 간 섬유증, 폐 섬유증, 신장 섬유증 등 다양한 장기의 기능 부전을 초래한다.
  • 암: 종양 미세 환경(tumor microenvironment)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암세포의 성장, 생존, 이동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