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회암
석회암은 주로 탄산칼슘(CaCO₃)으로 이루어진 퇴적암의 일종이다. 생물 기원, 화학적 침전, 또는 쇄설성 기원을 가질 수 있으며, 지질학적으로 매우 흔하게 발견되는 암석이다.
구성 성분 및 특징
주요 구성 광물은 방해석(Calcite)이며, 그 외에 백운석(Dolomite), 점토 광물, 석영(Quartz) 등이 소량 포함될 수 있다. 석회암은 일반적으로 흰색, 회색, 노란색, 갈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띠며, 입자의 크기와 결합 정도에 따라 다양한 조직을 나타낸다. 흔히 볼 수 있는 구조로는 오오라이트 구조, 생쇄설성 구조 등이 있다.
생성 과정
석회암은 다양한 환경에서 생성될 수 있다.
- 생물 기원: 조개, 산호, 유공충 등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생물의 껍데기나 골격이 퇴적되어 굳어져 형성된다. 얕은 바다, 특히 따뜻하고 깨끗한 물에서 잘 생성된다.
- 화학적 침전: 탄산칼슘이 과포화된 물에서 탄산칼슘이 직접 침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동굴 내 석회암 생성(종유석, 석순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쇄설성 기원: 기존의 석회암이 풍화, 침식되어 운반된 후 다시 퇴적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분류
석회암은 생성 기원, 구성 성분, 조직 등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다. 대표적인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구성 입자 크기: 미크라이트(Micrite, 매우 미세한 입자로 구성), 스파라이트(Sparite, 비교적 큰 결정으로 구성)
- 구성 입자 종류: 오오라이트 석회암, 생쇄설성 석회암 등
- 백운석 함량: 백운암질 석회암 (Dolomitic limestone)
용도
석회암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건축 자재: 시멘트 제조의 주요 원료이며, 건축물의 내외장재, 조경석 등으로 사용된다.
- 공업 원료: 제철, 제강, 화학 공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농업: 토양의 산성도를 중화하고 칼슘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지형
석회암 지대는 물에 잘 녹는 특성 때문에 카르스트 지형을 형성한다. 카르스트 지형은 돌리네, 우발라, 석회 동굴, 종유석, 석순 등 독특한 지형 경관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