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색시
새색시(새色視)는 혼례를 올린 지 얼마 되지 않은 여자를 이르는 한국어 낱말이다.
이 단어는 '새롭다'는 뜻의 관형사 '새'와 '젊은 여인' 또는 '신부'를 뜻하는 명사 '색시'가 합쳐진 말이다. 전통적으로 '색시'는 젊은 여인을 통칭했으나, 혼례와 관련하여 신부를 뜻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새색시라는 표현은 단순히 결혼한 여성을 넘어, 결혼 후 새로운 가정, 특히 시댁(남편의 부모와 가족)에 들어가 새로운 환경과 역할에 적응해 나가는 초기 단계에 있는 여성을 가리킬 때 주로 사용된다. 혼례 당일의 신랑 상대 여성을 지칭하는 '신부(新婦)'와 구별될 때, 새색시는 혼례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새로운 환경에 놓인 여성을 지칭하는 문화적 함의를 더 강하게 담는다.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결혼은 여성이 자신의 본가(친정)를 떠나 남편의 집안(시댁)으로 들어가는 중요한 사회적, 문화적 변화를 의미했다. 새색시라는 단어에는 이러한 변화 과정에 있는 여성의 아직은 낯설고 조심스러운 상황, 혹은 새로운 시작에 대한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요약하자면, 새색시는 결혼 후 새로운 가족 구성원으로서 역할과 환경에 적응해 나가는 초기 단계에 있는 여성을 지칭하는 단어로, 한국의 전통적 결혼 문화와 관련된 깊은 맥락을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