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사문암

사문암은 규산염 광물의 일종인 사문석으로 주로 구성된 변성암이다. 사문석은 섬록암, 감람암 등의 초염기성암이 수화작용(水化作用)을 받아 변성된 결과로 생성된다. 따라서 사문암은 원암의 광물 조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사문석 광물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문석 광물로는 안티고라이트(antigorite), 크리소타일(chrysotile, 석면의 일종), 리자르다이트(lizardite) 등이 있다. 사문암은 특징적인 녹색 내지 흑녹색을 띠며, 납작하고 비늘 모양의 광물 입자들이 서로 얽혀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때로는 섬유상 구조를 보이기도 하며, 이는 석면의 존재를 의미한다. 사문암은 비교적 연약하며,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다.

사문암은 지질학적으로 해양판의 섭입대에서 흔히 발견되며, 오피올라이트(ophiolite) 복합체의 일부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오피올라이트는 해양 지각과 상부 맨틀의 암석들이 지각 충돌에 의해 대륙 지각 위로 솟아오른 것이다. 사문암은 또한 습곡대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며, 이는 지각 변형 과정에서 발생한 변성 작용의 결과이다.

사문암은 석면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석면의 유해성이 알려진 이후로는 그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사문암은 토양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특징적인 토양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사문암 지역의 토양은 영양분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식물의 생육에 부적합한 경우도 있다.

사문암의 특징적인 외관과 생성 과정으로 인해 지질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사문암은 석면 함유 가능성 때문에 안전하게 취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