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제
부정맥제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조절하여 비정상적인 심장 리듬, 즉 부정맥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 그룹을 지칭한다. 부정맥은 심장이 너무 빠르거나 (빈맥), 너무 느리거나 (서맥), 불규칙하게 뛰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이상 리듬은 심장의 효율적인 혈액 펌프 기능을 저해하여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작용 기전
부정맥제는 심장 세포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심장 리듬을 정상화한다. 이들은 크게 다음과 같은 기전을 통해 작용한다.
- 나트륨 채널 차단: 심장 세포막의 나트륨 채널을 차단하여 심장 세포의 흥분 속도를 늦추고 부정맥 발생을 억제한다. (예: 퀴니딘, 프로카인아미드, 리도카인)
-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작용을 차단하여 심박수와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키고, 부정맥을 예방한다. (예: 프로프라놀롤, 메토프롤롤, 아테놀롤)
- 칼륨 채널 차단: 심장 세포막의 칼륨 채널을 차단하여 심장 세포의 재분극 시간을 연장시키고, 심장 리듬을 안정화한다. (예: 아미오다론, 소탈롤)
- 칼슘 채널 차단: 심장 세포막의 칼슘 채널을 차단하여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키고, 방실 결절을 통한 전기적 신호 전달을 늦춰 빈맥성 부정맥을 조절한다. (예: 베라파밀, 딜티아젬)
분류
부정맥제는 Vaughan Williams 분류법에 따라 작용 기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Class I: 나트륨 채널 차단제 (Ia, Ib, Ic 세부 분류)
- Class II: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 Class III: 칼륨 채널 차단제
- Class IV: 칼슘 채널 차단제
- 기타: 디곡신, 아데노신, 마그네슘 등
부작용 및 주의사항
부정맥제는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때로는 부정맥을 악화시키거나 새로운 부정맥을 유발할 수도 있다 (proarrhythmia). 흔한 부작용으로는 저혈압, 서맥, 심부전 악화, 위장 장애 등이 있다. 특정 부정맥제는 폐 섬유화, 갑상선 기능 이상, 간 기능 이상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부정맥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과 감독 하에 사용해야 하며, 약물 복용 중 불편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과 상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