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시
부동시는 시각 기능의 한 종류로, 양쪽 눈의 굴절력이 달라 망막에 맺히는 상의 크기가 다르거나, 시축의 방향이 달라 하나의 물체를 볼 때 양쪽 눈의 상이 융합되지 못하고 따로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부동시는 일반적으로 양안시 기능에 문제를 일으키며, 심한 경우 복시, 눈의 피로, 두통, 어지럼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원인
부동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굴절 이상: 양쪽 눈의 근시, 원시, 난시 정도가 현저히 다를 경우 부동시가 발생할 수 있다.
- 수정체 이상: 백내장, 수정체 탈구 등으로 인해 양쪽 눈의 굴절력이 달라질 수 있다.
- 각막 이상: 각막의 모양이나 굴절률이 비대칭적인 경우 부동시를 유발할 수 있다.
- 신경학적 문제: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등으로 인해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부동시가 나타날 수 있다.
증상
부동시의 증상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경미한 경우에는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복시: 하나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현상
- 눈의 피로: 눈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발생하는 피로감
- 두통: 눈의 피로와 함께 나타나는 두통
- 어지럼증: 균형 감각에 이상이 생겨 어지러움을 느끼는 현상
- 공간 지각 능력 저하: 거리감이나 입체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지는 현상
- 독서 곤란: 책을 읽을 때 눈이 쉽게 피로해지거나 글자가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
진단 및 치료
부동시는 시력 검사, 굴절 검사, 양안시 기능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치료 방법은 부동시의 원인과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 굴절 이상으로 인한 부동시의 경우, 양쪽 눈의 굴절력을 보정하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여 시력 교정을 할 수 있다.
- 프리즘 안경: 양쪽 눈의 시축 방향을 교정하여 복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시력 훈련: 양안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력 훈련을 통해 눈의 협응력을 강화할 수 있다.
- 수술: 백내장, 수정체 탈구 등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부동시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통해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부동시는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시력 저하 및 양안시 기능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눈의 피로, 복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