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결
부결은 어떤 안건이나 제안 등이 통과되지 못하고 기각되는 것을 의미하는 한국어 단어이다. 투표나 표결 등에서 찬성표보다 반대표 또는 기권표가 더 많아서 안건이 채택되지 않는 경우를 가리킨다. 의결 기관에서 의사결정 과정의 한 결과로 나타나며, 부결된 안건은 효력을 갖지 못한다. 부결의 반대말은 가결(可決)이다. 부결의 결과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에는 안건의 내용, 참석자들의 의견, 표결 방식 등이 포함된다.
부결은 법률 제정 과정, 회의, 투표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그 의미와 결과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회에서 법률안이 부결되면 해당 법률은 제정되지 않는다. 회사 이사회에서 안건이 부결되면 그 안건은 실행되지 않는다.
부결은 단순히 안건의 기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건에 대한 의사결정 주체의 명확한 거부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결된 안건은 향후 재검토될 수도 있고, 아예 폐기될 수도 있다. 부결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