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14건

봉분

봉분(封墳)은 무덤 위에 흙을 둥글게 쌓아 올린 부분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묘의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며, 묘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개요

봉분은 단순히 흙을 쌓아 올린 것이 아니라, 고인의 안녕과 후손의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봉분의 형태, 크기, 재료 등은 시대, 지역, 신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봉분의 형태는 원형, 방형, 장방형 등이 있으며, 크기는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봉분 주위에는 돌을 둘러 쌓거나, 비석, 상석 등을 설치하여 묘를 장식하기도 한다.

역사

한국의 봉분은 삼국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특히 고구려의 돌무지무덤과 신라의 적석목곽분은 거대한 봉분을 특징으로 한다. 고려시대에는 봉분의 형태가 더욱 다양해졌으며,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이념에 따라 봉분의 형태와 규모가 규격화되었다. 조선시대의 봉분은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봉분 앞에는 비석, 상석, 장명등 등이 설치되었다.

현대

현대에 들어서면서 묘지의 부족 문제와 함께 봉분의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과거처럼 큰 규모의 봉분을 조성하기 어려워졌으며, 평장묘나 잔디를 덮은 봉분 등 간소화된 형태의 묘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화장 문화의 확산으로 봉분 자체가 사라지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봉분을 통해 고인을 기리고 추모하고 있다.

참고 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