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대뼈
울대뼈 (hyoid bone)는 혀의 뿌리 뒤쪽에 위치하며, 목 앞부분에 있는 U자 모양의 작은 뼈이다. 다른 뼈와 직접적으로 관절을 이루지 않고 인대와 근육을 통해 매달려 있다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울대뼈는 발성, 삼킴, 호흡 등 중요한 기능에 관여하며, 혀와 후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구조
울대뼈는 크게 몸통(body), 큰뿔(greater horn), 작은뿔(lesser horn)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몸통: 울대뼈의 중앙에 위치하며, 방패 모양을 하고 있다.
- 큰뿔: 몸통 양쪽에서 뒤쪽으로 뻗어 있는 긴 돌기이다. 갑상연골과 연결되어 있다.
- 작은뿔: 몸통과 큰뿔이 만나는 지점 부근에서 위쪽으로 뻗어 있는 작은 돌기이다. 경돌설골인대와 연결되어 있다.
기능
울대뼈는 혀와 후두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기여한다.
- 발성: 혀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후두의 위치를 안정화시켜 정확한 발성을 돕는다.
- 삼킴: 음식을 삼킬 때 후두를 들어올려 기도로 음식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 호흡: 혀뿌리가 뒤로 쳐지는 것을 막아 기도를 유지하고 호흡을 원활하게 한다.
임상적 중요성
- 질식사: 울대뼈 부위의 압박은 기도 폐쇄로 이어져 질식사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법의학적 조사에서 울대뼈 골절 여부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수면 무호흡증: 혀뿌리가 뒤로 쳐져 기도를 막는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게서 울대뼈의 위치 이상이 관찰되기도 한다.
- 두경부암 수술: 두경부암 수술 시 울대뼈가 절제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로 인해 발성 및 삼킴 기능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추가 정보
울대뼈는 성별, 나이, 인종 등에 따라 크기와 모양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부 동물에게서는 울대뼈가 존재하지 않거나 다른 형태로 존재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