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문
복문은 문법적으로 두 개 이상의 주어-서술어 관계가 겹쳐져 이루어진 문장을 의미한다. 즉, 하나의 문장 안에 둘 이상의 절(clause)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들은 종속절과 주절의 관계로 연결된다. 단문과는 달리, 복문은 보다 복잡한 의미 관계를 표현하는 데 유용하며, 문장 내에서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복문의 구조
복문은 주절과 종속절로 구성된다.
-
주절 (main clause): 문장의 핵심 내용을 담고 있으며, 홀로 문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독립적인 절이다.
-
종속절 (subordinate clause): 주절에 의존하여 문장 성분 역할을 하는 절이다. 종속절은 홀로 문장으로서 기능할 수 없으며, 명사절, 부사절, 관형절 등의 형태로 주절에 포함된다.
종속절의 종류
종속절은 문장 내에서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명사절 (noun clause):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부사어 등 명사 역할을 하는 절이다. 명사절은 주로 '-(으)ㅁ', '-기', '-(는) 것' 등의 어미를 통해 만들어진다.
- 예: 그가 정직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주어 역할)
- 나는 그가 범인이라는 것을 확신한다. (목적어 역할)
-
관형절 (adjective clause): 문장에서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을 수식하는 관형어 역할을 하는 절이다. 관형절은 주로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를 통해 만들어진다.
- 예: 내가 어제 읽었던 책은 매우 흥미로웠다.
-
부사절 (adverbial clause): 문장에서 부사어 역할을 하는 절이다. 부사절은 시간, 이유, 조건, 양보, 목적, 결과 등 다양한 의미 관계를 나타낸다.
- 예: 비가 오면, 우리는 집에 있겠다. (조건)
- 그는 너무 피곤해서, 바로 잠들었다. (결과)
- 날씨가 좋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집에 머물렀다. (양보)
복문의 예시
-
"비가 오기 때문에, 나는 집에 있겠다." (주절: 나는 집에 있겠다, 종속절: 비가 오기 때문에 - 이유 부사절)
-
"내가 좋아하는 것은 책을 읽는 것이다." (주절: 내가 좋아하는 것은 ~이다, 종속절: 책을 읽는 것 - 명사절)
-
"그는 내가 어제 만났던 사람이다." (주절: 그는 ~이다, 종속절: 내가 어제 만났던 - 관형절)
복문의 활용
복문은 단문보다 더 복잡하고 정교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게 해주며, 글의 흐름을 더욱 자연스럽게 만들어준다. 다양한 문장 구조를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는 데 기여한다.